프로그래밍/TIL(국비과정)
-
[VSCode] 선택된 Ruby 코드만 실행시키는 단축키 설정프로그래밍/TIL(국비과정) 2021. 6. 29. 21:19
vscode에서 한 줄 한 줄 씩 코드를 실행시키는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을 때 users = User.all users.where(id: [1..10]) 루비 콘솔을 vscode 내에서 켜둔 채로 users = User.all 부분에 커서를 놓고 원하는 단축키를 누르면 해당 코드가 실행되는 것이다. 제목은 애매해서 선택한 코드라고 했지만 결국 line by line 실행이라고 볼 수 있다. 상단 메뉴 바에서 Code > References > Keyboard Shortcuts에 들어가 workbench.action.terminal.runSelectedText 를 찾는다. 그런 후 원하는 단축키를 입력한다. 나는 Ctrl + Shift + Enter 로 설정했다. ..
-
TIL #38 - AJax를 이용한 구구단 출력프로그래밍/TIL(국비과정) 2020. 7. 2. 01:42
아래와 같이 단을 입력하면 그에 맞는 구구단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만들 파일은 단을 입력받고 출력까지를 하는 html, 그리고 그 단을 받아 구구단 연산을 하고 값을 다시 html에게 넘겨줄 jsp 두개이다. 단, 구구단 값은 태그 안에서 출력하는데 단을 출력할 때까지는 보이지 않다가 이벤트 발생시에 데이터가 등장하도록 innerHTML 속성을 사용해 화면 변경을 한다. 따라서 alert을 이용해 값을 출력하지 않는 것이다. 먼저 html 이다. gugudan.html 단을 입력하고 결과값을 출력받을 html 파일이다. 먼저 단을 입력받는 input 태그에 id를 dan으로 주고, 결과 버튼을 눌렀을 시에 gugudanRequest() 라는 자바스크립트 함수가 발생하도록 해둔다. 구구단의 결과가 발생..
-
TIL #37 - JUnit프로그래밍/TIL(국비과정) 2020. 6. 30. 02:19
# JUnit JUnit 이란, java용 단위 테스트(유닛 테스트) 프레임 워크이다. 유닛테스트란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소스 코드의 특정 모듈이 의도된 대로 정확히 작동하는지 검증하는 절차이다. 쉽게 말하면 JUnit 은 함수나 메소드에 대한 테스트 케이스에 대한 작동을 검증하는 장치 인 것이다. (프레임워크를 어떤 장치라고 표현하는 것이 옳은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이번에 과제를 받아 존재를 처음 알게 되었고, 진작 알았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현재 Java8을 쓰고 있는데 따로 jar 파일과 같은 파일 필요없이 이클립스 내에서 받을 수 있었다. 현재 프로젝트 우클릭 > Build Path > Add Libraries 그리고 Add Libraries 창이 뜨면 JUnit을 ..
-
TIL #36 - 윈도우OS유저의 Docker 사용기프로그래밍/TIL(국비과정) 2020. 6. 28. 03:45
* 본 포스팅은 docker 사용기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도커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알고자 하신다면 다른 블로그를 참조해주세요! Docker! 도커를 사용하게 되었다. 계기는 오라클을 깔고 싶지 않아하던 내게 동기 분께서 도커를 추천해주셔서 사용하게 되었다. 먼저 도커는 위의 그림이 도커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해주는데, 도커 웹페이지에서는 이렇게 설명한다. 도커 컨테이너는 일종의 소프트웨어를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필요한 모든 것을 포함하는 완전한 파일 시스템 안에 감싼다. 여기에서는 코드, 런타임, 시스템 도구, 시스템 라이브러리 등 서버에 설치되는 무엇이든 아우른다. 이는 실행 중인 환경에 관계 없이 언제나 동일하게 실행될 것을 보증한다. 나는 도커로 오라클을 사용하고 싶기 때문에 오라클 이미지를 도커..
-
TIL #35 - AJAX프로그래밍/TIL(국비과정) 2020. 6. 26. 19:34
# AJax 란? AJax란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로 JavaScript를 사용한 비동기 통신으로 Client와 Server간에 XML 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술이다. AJax를 사용하면 페이지 이동없이 빠르게 화면을 전환할 수 있고, 서버 처리를 기다리지 않고 비동기 요청이 가능하다. 또 서버 측 처리를 각 PC에 분산할 수 있고 수신하는 데이터 양을 줄일 수 있다. 더보기 비동기(Asynchronous)란 요청을 보내고 상대의 반응을 기다리지 않고 바로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요청을 보낸 곳에서 받은 결과값을 가지고 일을 하겠다는 일은 할 수 없다. AJax의 주요 구성 요소는 아래의 4가지이다. 1. XMLHttprequest : 웹서버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
TIL #34 - MyBatis시작프로그래밍/TIL(국비과정) 2020. 6. 22. 18:00
# MyBatis란? MyBatis는 SQL쿼리문, 예외처리, 트랜잭션 관리들을 XML 형식으로 관리해주는 퍼시스턴스 프레임워크이다. 더보기 퍼시스턴스 프레임워크(Persistence Framework)란 데이터의 저장, 조회, 변경, 삭제를 다루는 클래스 및 설정 파일드르이 집합니다. (출처 : 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ED%8D%BC%EC%8B%9C%EC%8A%A4%ED%84%B4%EC%8A%A4_%ED%94%84%EB%A0%88%EC%9E%84%EC%9B%8C%ED%81%AC ) 그렇기 때문에 POJO(Pain Old Java Object) 객체와 테이블의 칼럼들을 편리하며 빠르고 정확하게 매칭할 수 있다. MyBatis는 의존성이 적은 특징이 있는데 실 사용시..
-
TIL #33-1 MVC 패턴 예시 추가프로그래밍/TIL(국비과정) 2020. 6. 17. 20:41
실제 로그인을 수행하는 과정에 따른 그림이다. 먼저 dynamicWeb Project 생성시 생기는 web.xml에서 임의의 URL과 실제 Java 클래스 위치를 명시해줄 properties 파일 위치를 알려주어야하는데, 여기서 착각했던 것이 하나 있다. web.xml은 서버가 켜질 때 최초로 방문하는 파일로 매번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방문하는 파일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즉, web.xml과 command.properties는 서버가 켜질 때 최초로 읽어지는 파일들이지 이벤트에 따라 읽어들였다 말았다 하는 파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래서 맨 처음에 LoginForm.jsp 가 실행되기 전에 서버가 켜짐과 동시에 web.xml 이 가리키는 properties 파일까지 읽어들인다. 그럼 본격적으로, 사용자..
-
TIL #33 - MVC 패턴프로그래밍/TIL(국비과정) 2020. 6. 16. 20:15
*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MVC 패턴은 디자인패턴 중 하나로, Model, View, Controller 의 줄임말이다. MVC 패턴은 로직(Java)과 html, javascript, css와 같은 프리젠테이션을 따로따로 분리해서 확장성이 좋게 만든 것이다. 아래는 실제 적용되는 방식에 대한 그림 설명이다. 먼저 클라이언트에 회원가입이나 로그인과 같은 요청을 한다. 그럼 제어 역할을 맡은 Servlet에서 그에 따른 응답을 한다. Servlet은 받은 요청을 forward 방식으로 JSP에게 넘겨준다. 더보기 Servlet은 JSP에게 forward, Redirect 형식으로 요청을 넘겨줄 수 있다. forward는 직접 파라미터를 넘겨줄 수 있는 방식이고 상대방에게..